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4년 12월 첫째주 뉴스(12.2 ~ 12.6)
    재테크 기록/주간 주요뉴스 2024. 12. 9. 11:00
    728x90

    재테크를 통한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팍스채유니나입니다.
    '역사는 돌고 돈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때 그때 화자되었던 금융관련 내용들과 저의 생각들을 기록해두면
    1년 뒤, 3년 뒤, 10년 뒤에 비슷한 경제상황이 왔을 때 이 기록들이 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24년 12월 첫째주 재테크 주요 내용들을 돌아보겠습니다.

    1. 12월은 돈 버는 달?

    미국 S&P500기준으로 12월은 평균 1.31% 상승했습니다. 1년으로 따졌을 때 3번째로 좋은 월입니다.

    월별 수익률

     

    특히 시장이 상반기에 강세장이었다면 12월은 더욱 강하게 상승했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특히 상반기(1월~6월)에 10%이상 지수가 상승했을 땐 12월에 80%이상 확률로 수익이 났으며, 평균 수익률은 3.2%라고 합니다. 올해 상반기는 10%이상 상승했었기에 12월이 더욱 기대가 됩니다.

    2. 계엄령과 탄핵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우리나라의 관심사는 계엄령과 탄핵입니다. 아니 전세계적으로도 우리나라 계엄령과 탄핵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과거의 계엄령과 탄핵 관련 이슈가 있을 때 주가지수는 어땠는지 살펴보고, 이것을 기반으로 투자를 진행한다면 더 효율적인 투자를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아서 확인해봤습니다.

    먼저 계엄령과 지수의 상관관계를 보겠습니다. 너무 과거의 일이라 자료가 별로 없긴합니다.

    1980년 계엄령 당시, 코스피는 6거래일 휴장을 했습니다. 개장 후 2주간 약 19% 하락했습니다. KB증권에 따르면 계엄령이 지수에 단기간 충격을 주긴 하지만 80년도는 경기침체기간이어서 계엄령보다는 경기 사이클이 증시에 더 영향을 줬다고 말합니다.

    이번엔 탄핵과 지수의 상관관계를 보겠습니다.

    2004년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발의되었을 때, 코스피는 5.5% 하락했습니다. 이후 지속적으로 약세 흐름이었다가 8월 반등하여 07년까지 엄청난 상승을 했습니다.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및 가결했을 때도 단기적으로 충격은 있었으나 이후 바로 반등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탄핵과 주가지수

    3. 빅스지수와 S&P500의 상관관계

    주가시수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빅스(VIX)지수가 있습니다. 보통 주가가 급락하면서 하락할 때 지수가 상승하고, 안정적으로 상승할 때 빅스지수는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빅수지수가 20에서 14로 낮아지는 경우 12개월 뒤 96%확률로 지수가 상승했었다고 합니다.

    최근 빅수지수가 안정되어가고 있는 상황인데, 1년뒤에 주가지수가 상승해 있을지 확인해봐야겠습니다.

    4. 10년물 금리와 주식

    세계 경기의 가장 기본적인 지표라고 볼 수 있는 것은 미국 10년물 금리입니다. 2024년 한 해동안 10년물 금리와 미국 또는 미국 외 국가들의 주가지수가 어떻게 변했는지 보겠습니다.

    미국 10년물 금리와 세계 주식시장

     

    금리가 상승하거나 횡보할 때는 미국지수가 강했고, 금리가 하락할 때는 미국 외 국가들이 좀 더 강했습니다.

    근데 뭐 미국은 금리가 오르거나 내리거나 상관없이 주가지수가 오르는 무적 지수인 것 같습니다.

    5. S&P500지수 56번째 사상 최고치 기록

    2024년 S&P500지수가 56번째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50번 넘은 경우가 7번정도밖에 안되는데, 그만큼 2024년의 미국시장은 매우 강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사상최고치를 50번 이상 갈아치울 경우 다음년도의 주가지수가 어떤지 한번 보겠습니다.

    50번 이상 사상최고치 기록 시 다음년도 지수

     

    다음년도 평균 수익률은 -3%정도인데 한 번 지켜봐야겠습니다.

    이와 비슷하지만 반대의 결과값을 보여주는 통계가 있어 하나 확인해보겠습니다.

    2년 연속 주가지수가 20%이상 상승했을 때 다음년도의 주가지수 수익률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2년 연속 20% 이상 상승

     

    이 표를 보면 또 상승을 많이했을 때 추세를 이어가 다음년도에도 평균 약 12%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과연 내년에 어떤 결과를 보여줄지 기대가 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