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전 전기요금 인상 - 배경, 인상률, 전기요금 절약 방법 등 알아보기
    관심사/재테크 2023. 5. 17. 23:17
    728x90

    한국전력은 15일 2분기 적용 대상 전기요금을 kWh(킬로와트시) 당 8원 이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전기요금 인상은 지난 1월 요금조정 시 반영하지 못한 지난해 연료비 증가분 중 일부를 반영한 것으로, 소비자 수용성 등을 고려해 결정했다고 한전 측은 설명했습니다. 이번 전기요금 인상의 배경, 얼마나 전기요금이 오르는지 등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전기요금 인상 배경

    지난 2021년 이후 에너지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한전은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인 32조 7천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올해도 1분기에도 6조 2천억 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하면서 전기요금 인상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 주요 선진국 대비 낮았던 전기요금 인상률

    에너지 위기를 맞이한 세계 주요국의 전기요금은 1~2년 새 크게 올랐습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2021년 1월 ~ 2022년 6월 한국의 전기요금 인상률은 4.6%(주택용·산업용 등 평균)인 반면 이탈리아는 106.9%, 일본 35.6%, 프랑스 25.6%, 미국 21.5% 등 두 자릿수 인상률을 보였습니다. 한국전력도 요금을 올리면서 소비를 억제시키는 선진국의 정책에 일정 부분 동참하기 위해 이번 전기요금 인상이 있었다고 보입니다.

    국가별 전기요금 인상률 - 중앙일보

    ▶ 인상을 해도 타 국가보다 저렴한 전기 요금

    우리나라는 전기요금을 원가의 70%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럽이나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 전기요금이 가장 저렴합니다. 이런 이유로 전기요금 인상의 배경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2. 전기요금 얼마나 인상되고 어떻게 적용되나

    ▶인상률

    이번 인상률은 현재 요금 수준 대비 약 5.3%입니다. 월평균 332 kWh를 사용하는 주택용 4인 가구 기준으로 매 월 3,020원(부가세 등 포함) 가량 요금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지난 1분기에 kWh당 11.4원의 요금을 인상하고, 임금 반납, 재정건전화 계획 추진 등 자구책을 강구했지만 2분기에 추가적으로 전기요금 인상안을 내놓았습니다.

    ▶ 소급적용 없음

    이미 사용한 요금인 4월, 5월 요금에는 소급적용되지 않습니다

    ▶ 취약계층 유예

    전기요금 인상에 상대적으로 부담을 느끼는 취약계층 등에 요금인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1년 유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취약계층은 장애인과 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3자녀 이상·대가족·출산가구 등이 대상입니다.

    ▶ 농사용 전기,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농사용 전기의 경우 1분기와 동일하게 이번 인상분을 3년에 걸쳐 분할 조정합니다. 주택용 고객의 에너지 소비절약을 유도하고 전기요금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기존의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올해 하반기부터 대폭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 캐시백제도: 과거 2년 동안 사용량 대비 3% 이상 중리옥 동일지역 참여자 평균절감률 이상을 달성한 경우 30원 캐시백

    3. 생활 속 전기요금 절약 방법

    ▶ 전기요금 줄이는 가전제품 사용방법

    세탁기는 최대한 사용 횟수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한 달에 세탁을 10번 하던 것에서 6~7번으로 줄이는 것만으로도 전력 사용량이 2 kWh 줄어든다는 조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세탁기 작동 시 소비되는 에너지의 90%가 물을 데우는 데 사용되므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찬물 세탁을 권장합니다.

    밥솥 보온 기능은 전기요금 상승의 주범입니다. 밥솥은 밥을 짓는 용도로 사용하고, 보관은 전용용기에 담아 냉동실에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집안 조명을 선택할 때는 LED조명이 형광등에 비해 에너지 절감률이 30~50% 수준이므로 되도록 LED 조명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기전력 차단하기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만으로도 월평균 5,000원, 1년이면 6만 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 자기 전, 외출 전 등 오랫동안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플러그를 빼두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 전기요금 추가로 더 줄이기

    공공요금 할인 혜택이 포함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신한카드의 미스터라이프, KB국민카드의 탄탄대로 올쇼핑 티타늄카드, 현대카드의 제트패밀리카드, 삼성카드의 ID달달할인 등 공과금을 줄일 수 있는 혜택을 주는 신용카드가 있습니다. 이런 혜택을 통해 추가적인 전기요금 혜택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