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속도로 지정차로제 정의, 운영방법, 벌금, 효과 등 알아보자관심사/일상정보 2023. 8. 18. 23:36728x90
2023년 6월 23일부터 고속도로 1차로 정속주행 및 대형차량 상위차로 주행 등 지정차로 위반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와 계도를 시행했고, 교통량이 증가하는 7월 21일부터 지정차로제 단속을 강화했습니다. 위 규정을 '지정차로제'라고 합니다. 안전운전도 하면서 벌금도 아낄 수 있도록 오늘은 지정차로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정차로제란
지정차로제는 고속도로에서만 시행을 합니다. 지정차로제는 고속도로 교통 효율성을 가져가기 위해서 차량에 따라 지정된 차로를 이용하는 제도입니다. 1차선은 추월차로, 2차선은 승용·승합차, 3차선은 대형 승합·화물·특수·건설기계 차량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지정차로제 운영방법
지정차로제는 도로교통법 제21조에 의거하여 운영됩니다. 다른 차를 앞지르려면 앞차의 좌측으로 통행해야 하는데, 그래서 가장 좌측인 1차선이 추월차선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각 차로에 지정된 차량만이 운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1차선으로 추월한 후 2분 이내에 다시 원래 차로로 복귀하여야 합니다.
단, 차량 정체로 인해 시속 80km미만으로 주행 중일 경우에는 추월하지 않아도 1차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정차로제 설명 - 경찰청 보도자료 도로교통법 제 21조 3. 지정차로제 벌금
지정차로제 벌금은 도로교통법 제60조 1항을 적용하여 승합차는 5만 원, 승용차는 4만 원, 이륜자동차는 3만 원, 자전거는 2만 원이 부과되며 벌점 10점이 부과됩니다. 지정차로제는 고속도로에서만 적용되니 이륜과 자전거는 의미가 없습니다.
지정차로제 벌금 - 조선일보 4. 지정차로제 효과
독일의 고속도로 '아우토반'은 운전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것입니다. 전체 고속도로 길이의 절반 정도가 속도 제한이 없습니다. 속도제한이 있는 곳도 제한속도가 굉장히 높습니다. 지정차로제를 철저히 지킴으로써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한국의 3분의 1 수준이고, 유럽에서 가장 낮습니다.(한국 만 명당 2.4명, 독일 만 명당 0.7명)
반응형'관심사 >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남시민 차량 무상 점검 지원 - 와이퍼, 에어컨 필터, 워셔액 냉각수 보충 등 지원 (0) 2023.08.28 식기세척기 대표 브랜드별 비교 추천 - 세척성능, 대표기능, 전력사용량 등 (0) 2023.08.23 임신했을 때 코로나 걸리면 어떻게 대처해야되나 - 태아 영향, 타이레놀 복용, 고열, 스트레스 등 알아보기 (1) 2023.08.17 성남시 분당구 바닥분수 - 운영기간, 운영시간, 장소 등 (0) 2023.08.14 탄천종합운동장 주말 자유수영 - 가격, 시간표, 주차까지 (2) 2023.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