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적 자유를 위한 부동산 공부(M1/M2비율, KB부동산 통계자료) - 2023년 11월 2주차관심사/재테크 2023. 11. 14. 22:30728x90
저 같은 직장인이라면 대부분 퇴사라는 꿈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퇴사를 하려면 재테크를 통해 경제적 자유를 이루어야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재테크하면 부동산이 떠오릅니다. 실제로 부자들은 부동산 투자를 통해 부를 이뤘습니다.
금융권 자산관리 부문 역량 강화, 맞춤형·특화형 서비스 중요해져 - 한스경제
[한스경제=박종훈 기자] 은행은 물론 금융권 전반의 미래 성장동력이 자산관리(WM) 비즈니스로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과거 타 산업과 엄밀하게 구분돼야 했던 것과 달리, ICT 기
www.hansbiz.co.kr
저도 재테크에 관심이 많아서 부동산, 주식, 코인 등 다양하게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재린이(재테크+어린이)라서 공부를 해나가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블로그에 매주 부동산에 대한 기사 및 통계자료들을 공부하며 글을 올려볼까 합니다. 단, 저는 말씀드렸듯이 엄청난 재린이이므로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1. M1/M2 비율과 부동산 상관관계
[넘버스]데이터와 부동산② 집값은 10년차 부부 따라 움직인다
숫자들(Numbers)로 기업과 경제, 기술을 해석해 보겠습니다. 숫자는 정보의 원천입니다. 정보는 누구에게나 공개되어 있고 숫자도 누구나 볼 수 있지만, 그 뒤에 숨어 있는 진실을 보는 눈은 누구
www.bloter.net
M1이란 협의통화라 불리는데 현금통화, 요구불 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을 뜻하며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볼 수 있습니다.
M2는 M1에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시장형 상품, MMF, 수익증권 등을 더한 것으로 M1보다는 아니지만 현금성 자산에 가까운 자산을 말합니다.
위 기사에서 알 수 있듯이 M1/M2 비율은 부동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지속적으로 M1/M2비율을 점검하면서 부동산 가격을 예상해보면 좋을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M1/M2 비율 역사 M1/M2 비율표 2023년 11월 14일 기준으로 M1/M2 비율은 30.8%로 평균 28.9%대비 아직 높습니다. 평균 이하로 내려와야 시장이 정상화되었고 앞으로 상승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투자를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매수우위지수
매주 KB부동산에서는 주간통계를 올려주고 있습니다. 먼저 매수우위지수를 볼 수 있는데,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가 많고 100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은 상황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매수자가 많을수록 부동산 가격은 올라가기 때문에 100을 넘을수록 부동산 시장이 상승으로 갈 확률이 높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부동산은 환금성이 떨어지고, 보유기간이 길기 때문에 가격이 안 좋을 때, 부동산 시장이 냉각됐을 때 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매수우위지수가 100이하 때가 좋은데, 2022년 부동산 하락장일 때 20 이하로도 내려갔었 던 것으로 확인됩니다.
매수우위지수 - KB부동산 주간 통계 현재는 매도자가 많지만 아직 저점이라고 판단하기엔 이른 상황이라고 생각됩니다.
매수우위지수 - KB부동산 주간 통계 3. 매매거래지수
KB부동산의 주간통계에는 매매거래지수도 올려주고 있습니다. 부동산 거래량을 가늠해볼 수 있는 통계자료입니다. '월급쟁이 첫 부동산 투자'라는 책에는 매매거래지수가 15를 넘어가면 상승 시작이고, 20을 넘어가면 급등이 나온다고 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환금성이 떨어지는 부동산은 역추세에 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여 15 이하에서 매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매매거래지수 - KB부동산 주간 통계 매매거래지수를 보시면 2008년부터 평균이 전국 기준 14.9, 서울 기준 14.7인데, 15면 상승 시작이라고 얘기하신 부분이 평균이 15정도되서 말씀하신 것이라고 추정됩니다. 위 사진의 주황색 부분을 보면 10 이하로 내려갔을 때가 2022년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인해 단기적 저점을 형성했을 때입니다. 계속 수치를 확인하면서 10 이하의 수치가 연속해서 나온다면 매매거래지수로는 부동산을 매수해도 된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 마무리
현재 부동산 시장을 숫자로 한번 점검해보았습니다. 유동성을 나타내는 M1/M2비율은 아직 고점이고, 매수우위지수도 아직은 평균 이상입니다. 위에 말씀드린 세 가지 요건을 기반으로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면서 뉴스들을 더해 부동산 재테크를 시작해보려 합니다.
부린이인 저에게 부동산 고수님들이 많이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관심사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적 자유를 위한 부동산 투자 공부 - 11월 3주차 (172) 2023.11.24 [서평]투자의 역사는 반드시 되풀이된다 - 장광우 (195) 2023.11.18 대한민국 환율관찰대상국 제외 - 환율관찰대상국 정의, 제외 이유, 영향 등 알아보자 (146) 2023.11.10 [서평]돈은 빅테크로 흐른다 - 애덤 시셀 (135) 2023.11.02 가치투자를 시작하려면 읽어봐야할 책 - 한국형 가치투자 (180) 2023.10.21